▴열정적으로 복음을 전하는 조 목사, 북아프리카 국가는 인구 99%가 무슬림이다.
북아프리카는 전 세계에서 무슬림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으로, 일부 국가의 무슬림 인구는 99% 이상이다. 하루 하루를 숨조리며 전도하는 ‘조Joe 목사’(보안상 가명 사용함)의 사역을 ‘한국 순교자의소리’를 통해 들을수 있었다.
현숙 폴리 대표는 "원래 조 목사님은 사하라 이남 지역 출신으로, 그 지역은 인구의 60% 이상이 기독교인입니다. 하지만 전쟁 때문에 조 목사님은 학생 신분으로 북아프리카의 한 국가로 이주했는데, 그곳은 인구 99%가 무슬림이었습니다.”
현숙 폴리 대표는 조 목사가 동료 학생들에게 기독교 신앙을 전했을 때, 하나님께서 그에게 북아프리카 사람들을 그리스도께 인도하고 양육하고자 하는 뜨거운 마음을 주셨다고 말한다. "조 목사님은 곧 학업의 방향을 신학으로 전환했고 마침내 목회자가 되었습니다. 현재 목사님 사역의 많은 부분이 기독교 지도자를 훈련하는 것과 기독교를 규제하는 그 나라에서 새 신자들에게 예수님을 따르는 법을 가르치는 것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북아프리카 지역의 기독교 역사가 초대 교회 시대로 거슬러 올라갈 만큼 장구하지만, 오늘날 그 지역에는 교회나 기독교인이 거의 없습니다. 복음은 지금도 많은 무슬림의 반대에 부딪히고 있으며, 이슬람에서 기독교로 개종한 사람은 가장 가까운 친척에게조차 새로운 신앙을 비밀로 숨겨야 합니다. 그러한 이유로 그들은 조 목사님 같은 분들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조 목사와 그의 교회는 이슬람을 떠났다는 이유로 무슬림 가족에게 배척당하는 많은 새 신자를 돕고 있다. 조 목사는 최근 순교자의 소리와 인터뷰를 하며, 그러한 새 신자 가운데 한 명인 북아프리카 여성에 관한 이야기를 전해주었다. 그 여성은 예수님을 영접했지만, 자신의 새로운 신앙이 가족과의 관계에 어떤 어려움을 가져올지 깨닫지 못한 채 집으로 돌아갔다. "그 여성은 예수님을 믿는다고 공개적으로 말하면 위험해질 수도 있다는 경고를 받지 않았기 때문에, 집으로 돌아가자마자 기쁨에 찬 얼굴로 '나는 예수님을 발견했어요. 기독교인이 되었어요’라고 말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젊은 여성의 무슬림 가족은 그녀의 개종에 분노했다. 조 목사에 따르면, 그 젊은 여성의 어머니는 "내 딸이 기독교인이 되느니 차라리 매춘부가 되는 게 더 낫겠다” 라고 말했다.
그러자 다른 친척들이 그 여성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온 가족이 그 여성을 공격했습니다. 그들은 그녀를 모욕하며 때리기 시작했고, 어느 날 밤엔 잠옷 차림으로 밖으로 내쫓았습니다. 그녀는 도망쳤고, 우리는 그녀를 받아주고 도울 수 있어서 기뻤습니다. 이곳 사람들이 얼마나 힘든 일을 감내하며 사는지 여러분은 상상하지도 못할 거예요. 기독교인이라는 것이 밝혀지기만 해도, 나병 환자같은 취급을 받아요”라고 조 목사는 순교자의 소리에 말했다.
조 목사는 기독교로 개종한 가족 구성원이 다른 가족 구성원에게 개종 사실을 숨기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우리는 어떤 부부의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남편은 기독교 신앙을 아내에게 숨기고 살았는데, 어느 날 아내도 남편이 기독교인이라는 사실을 모른 채 기독교인이 되었습니다. 아내 역시 자신의 기독교 신앙을 숨기고 살고 있었는데, 나중에 두 사람은 어떤 예배 장소에서 우연히 만나게 되었습니다. 이 부부에게 얼마나 기쁜 날이었을까요?”라고 조 목사는 말했다.
현숙 폴리 대표는 조 목사가 매일 위험 속에서 살아간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조 목사가 이슬람에서 기독교로 개종한 신자들을 위해 사역하고 있는데, 이는 북아프리카 국가들에서는 법으로 금지된 행위이기 때문이다. 또한 현숙 폴리 대표는 "무슬림들은 조 목사님과 목사님의 교회 교인들이 더 많은 무슬림을 개종시키지 못하게 막으려고 협박합니다”라고 말하며, 누군가가 교회 문에 협박성 메시지를 남기고 교인들의 자동차 창문을 깨뜨리기도 했다고 설명한다.
조 목사는 순교자의 소리와의 인터뷰에서 두렵다고 인정하면서, "우리 사역은 대중에게 노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하루가 어떻게 끝날지 모르는 상태에서 하루를 시작하는 날들이 많습니다”라고 말했다.
그렇지만 조 목사는 전 세계 기독교인들의 격려 덕분에 자신과 교인들이 인내하며 주님께서 사명으로 주신 사역을 계속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역경을 겪고 있는 이 지역 기독교인들이 혼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도록 돕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리스도의 몸은 이론이 아니라 사실이며 현실입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가족이므로 서로 도와야 합니다. [여기 북아프리카]에서 제가 아는 기독교인 중 어느 누구도 그것이 쉬운 일이라고 말한 적이 없습니다.”
조 목사는 현지 교회가 성장하고 있다고 말하며, 자신이 계속해서 사람들을 “북아프리카 사막에 있는 생수”이신 주님에게 인도할 수 있도록 기도해달라고 요청한다.
∎순교자의 소리는 조 목사 같은 기독교인을 위한 긴급 기도 제목을 웹사이트에 게시하고 있다. https://vomkorea.com/prayer/urgent/
/ 윤광식 기자(kidokilbo@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