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숭고한 그리스도의 사랑을 보여준 글래디스 사모

남편 선교사와 두 아들을 불태워 살해한 살해범 용서

2025-05-24 22:08:25  인쇄하기


Picture1KOR (7).png

스테인스 선교사 가족: 왼쪽이 현재 74세인 글래디스 사모, 중앙이 현재 의사가 되어 글래디스 사모와 함께 호주에 살고 있는 딸이다. 오른쪽 그레이엄 스테인스 선교사와 앞쪽의 두 어린 아들은 1999년 인도에서 힌두교 민족주의 폭도들에 의해 불에 타 세상을 떠났다.

 

우리나라에 자신의 두 아들을 죽인 공산당을 용서하고 아들로 삼은 사랑의 원자탄 손양원 목사가 있었다면 인도에는 글래디스 사모가 있다

 

1999,  인도에서 그레이엄 스테인스 선교사와 그의 두 아들을 불태워 살해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살해범 13명 가운데 한 명이 지난달, 25년의 수감 생활 끝에 모범수로 인정받아 조기 석방되었다. 현재 51세인 마헨드라 헴브람(Mahendra Hembram)은 지난 416, 오디샤(Odisha)주 케온자르 교도소에서 교도소 관계자들과 사진을 찍은 뒤에 감옥에서 나왔고, 이어 힌두교 민족주의 단체 회원들의 환호를 받으며 축하 행렬에 앞장섰다. 이 축하 행사는 인도와 전 세계 기독교계 및 인권 단체의 비난을 받았지만, 스테인스 선교사의 아내 글래디스(Gladys) 사모는 대중들에게 용서를 촉구하고 있다.

글래디스 사모의 오디샤주 대변인 수반카르 고쉬(Subhankar Ghosh)<텔레그래프 오브 인디아>와의 인터뷰에서 "마헨드라는 이제 개심한 사람입니다. 그는 이미 죄를 회개했습니다. 과거를 들춰내는 것은 아무 소용없습니다. 죄는 미워해야 하지만 죄인은 사랑해야 합니다. 죄인들은 변화되었고 하나님은 그들을 용서하셨습니다"라고 말했다.

한국 순교자의 소리 현숙 폴리 대표는 이번에 글래디스 사모가 용서를 촉구하며 한 말이 2003년 살해범들이 형을 선고받았을 때 그녀가 처음 했던 말과 흡사하다고 설명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당시 글래디스 사모님은 살해범들을 용서했고 그들에게 어떤 원한도 품고 있지 않다는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사모님은 인도인들을 매우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고, 그들의 포용력을 칭찬했습니다. 글래디스 사모님은 딸과 함께 2004년까지 인도에 머물면서 남편과 함께 해오던 한센병 환자 사역을 계속했는데, 이는 남편과 자신을 신뢰했던 사람들을 떠나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었습니다. 이후로도 글래디스 사모님은 고향인 호주와 인도를 계속 오가며 사역했습니다."

현숙 폴리 대표는 글래디스 사모의 태도와 행동에서 기독교 인권 단체들과 기독교 사역의 차이를 볼 수 있다고 말한다.

"글래디스 사모님은 개인적인 용서와 법적인 절차가 별개의 문제라는 점을 항상 분명하게 강조했습니다. 사모님은 정치나 법적인 문제에 개입하기보다는 항상 공개적인 발언을 통해, 모든 사람이 그리스도 안에서 용서받을 수 있다는 진리를 선포해 왔습니다. 이것이 글래디스 사모님이 테레사 수녀 다음으로 인도에서 두 번째로 유명한 기독교인으로 불려온 이유입니다."

현재 74세로 호주에 거주하고 있는 글래디스 사모는 20039, 마헨드라 헴브람과 공범자들에게 형이 선고되었을 때 다음과 같은 성명을 발표한 바 있다.

"저는 살해범들을 용서했고 어떤 원한도 품고 있지 않습니다. 용서가 치유를 가져오고, 우리 인도 땅이 증오와 폭력을 치유 받아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범죄의 대가로 형벌을 받는 것과 용서받는 것을 혼동하면 안 됩니다. 하나님께서는 그리스도 안에서 저를 용서하셨고, 하나님을 따르는 제자들도 그렇게 하기를 바라십니다. 그분께서는 '너희가 누구의 죄든지 사하면 사하여질 것이요’(20:23)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러므로 영원의 관점에서 볼 때 우리 모두는 천국에 들어가기 위해 죄를 용서받아야 합니다 ……. 어떤 개인도 이 땅의 법 위에 군림할 수 없습니다. 저는 범죄와 형벌 문제를 법대로 처리하는 것에 대해 조금도 반대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통치 당국에 복종하도록 부름받았습니다. 하나님 외에는 다른 권세가 없으며, 이 땅의 모든 권세자들은 하나님께서 세우신 사람들입니다. 우리는 하나님도 영화롭게 하고 인간도 존중해야 합니다."

현숙 폴리 대표는 기독교 인권 단체들과 사역 단체들이 글래디스 사모의 접근 방식에서 배울 수 있을 것으로 믿고 있다.

현숙 폴리 대표는 말한다. "물론 힌두교 민족주의자들이 마헨드라 헴브람을 환호하거나 힌두교 민족주의 정치 지도자들이 마헨드라 헴브람을 비롯한 다른 살인자들을 지지하는 발언을 할 때 기독교인들은 심각하게 우려하게 됩니다. 전 세계 기독교 인권 단체들이 이러한 사건을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하는 이유는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기독교 인권 단체들은 다른 기독교인들을 옹호하고 지지하는 것이 자신들의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글래디스 사모님은 항상 복음을 전파하고 복음대로 사는 것에 집중했습니다. 심지어 남편과 어린 두 아들이 불에 타 죽었을 때도 사모님은 복음을 전파하고 그리스도께서 자신과 남편에게 주신 사역을 신실하게 감당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글래디스 사모님은 가장 힘든 순간에도, 정치나 법적 절차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오직 기독교인만 아는 메시지, 즉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얻을 수 있는 죄 사함의 메시지를 전하기로 결단했습니다.”

"힌두교 민족주의 정치에 대한 해결책은 기독교적 정치도 아니고, 심지어 국제적인 인권 운동도 아닙니다. 해결책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입니다"라고 현숙 폴리 대표는 강조한다.

한국 순교자의 소리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스테인스 선교사 가족의 이야기를 더욱 상세하게 읽을 수 있다. https://vomkorea.com/nl-11/  윤광식 기자(kidokilbo@daum.net) 

다음글 | 중국파견 북한 노동자 “성경에 대해 목숨을 걸고 알아 가려고 합니다”

목록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