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독교인이 만국에 보낸 '3·1운동 호소문' 발견

일제의 만행 폭로와 국제사회의 도움 호소해

2015-08-14 09:14:44  인쇄하기


“슬프다 우리 한국이 피를 뿌리며 눈물을 머금고 세상에 호소하오니 (…) 인류의 행복을 도모하시는 여러분은 유력한 협조를 주시기를 바라옵니다.” (호소문)
▲동은의학박물관 제공

19193·1운동의 당위성을 세계에 알리고 일제의 만행을 폭로하기 위해 한국 기독교 인사들이 세계 각국에 보낸 호소문이 발견됐다. 이 호소문은 한국기독교가 3.1운동의 중심적 역할을 하였음을 입증하는 것으로 역사적 가치가 크다. 

연세대 의대 동은의학박물관은 캐나다 출신 의사로 세브란스병원 설립을 주도한 올리버 애비슨의 증손녀로부터 지난 4월 호소문 원본을 기증받았다고 13일 밝혔다. 이 호소문은 1919년 미국 샌프란시스코 지역 한인 동포 기관지 신한민보를 통해 소개됐지만 원본의 존재가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박물관이 공개한 호소문의 한쪽 면에는 한글로 된 원문과 한자로 쓰인 서명자 명단이, 뒷면에는 호소문의 영어 번역문이 실려 있다. 호소문에 서명한 이들은 독립운동가이자 목사인 안승원·손정도·장덕로·김병조·조상섭·배형식·이원익 등 7, 조보근·김시혁·김승만·장붕 등 장로 4명이다. 이들은 대한국예수교회 대표자'라는 명칭을 썼다. 손정도, 김병조는 중국 상하이로 망명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한 인사이기도 하다. 

19195월 작성된 것으로 명기된 이 호소문은 대한예수교도 50만명을 대표해 우리는 만국 예수교우에게 삼가 글을 올리옵나이다라는 문장으로 시작한다. 호소문은 단군 개국 이래 4000년의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며 기독교가 전파된 지 불과 30년 만에 50만명이 신자가 된 점 등을 각국 기독교 지도자들에게 강조한다. 

글쓴이들은 불행히 일본의 군국주의를 만나 병탐을 횡피한 후로 선교의 자유가 박탈되는 등 기독교에 대한 핍박이 이어진다는 탄식도 담았다. 3·1운동에 대해서는 우리의 쌓이고 가득하였던 불평은 일시에 폭발하야 전국일치로 독립을 주창하며 자유를 회복코저 할세 한곳도 폭렬한 횡동이 없고 평화적 수동적 반항을 계속할 뿐이었다며 자유를 위한 비폭력 투쟁이었음을 밝혔다. 

그러나 악독무도한 일본인'들은 살상과 구타가 여지없으며 서울과 지방의 감옥이 설 틈이 없도록많은 이들을 붙잡아 가뒀고, 심지어 어린아이와 약혼 부녀까지 말할 수 없는 욕과 악형을 당했다고 전했다. 호소문은 우리를 위하여 기도해 주시기를 바라오며 동시에 여러분의 심후한 도덕적 원조를 바란다고 끝을 맺는다. 

▲영문으로된 호소문

박물관 측은 이 호소문은 이들이 중국 망명 당시 각국 기독교인들에게 한국인들이 처한 절박한 상황을 전하고자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 호소문은 한국에서 제중원 의학교 초대 교장, 세브란스 의학교 교장, 연세대의 전신 연희전문학교 교장 등을 역임한 애비슨에게도 전해졌다. 후 그의 후손들이 보관하다가 올해 연세대 개교 130주년을 기념해 박물관 측에 전달했다.

박물관은 이 호소문을 비롯한 애비슨의 유품, 제중원 설립자 호러스 알렌의 유품 등 18점이 문화재로 지정될 가치가 있다고 보고 문화재청에 심사를 요청한 상태다. 박물관 관계자는 원본이 남아 있는 3·1운동과 관련 자료가 많지 않아 문화재로 신청할 가치가 있다애비슨은 한국 기독교 독립운동을 여러 방면에서 후원하는 등 독립운동사적 의미가 있는 인물이라 그에게까지 호소문이 전달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윤광식 기자(kidokilbo@daum.net)

이전글 | 한기총, ‘해방 70주년, 광복절 67주년 기념 감사예배’
다음글 | 다락방, 렘넌트 운동 “한국교회에 희망을 쏘다(2)

목록보기